INTRO
Taylor Larimoer의 Three-Fund Portfolio는 주식 채권 60:40의 전통적 자산배분을 조금더 강화한 전략입니다.
이름에서 알수있듯 단 3개의 Index Fund를 이용합니다.
Taylor Larimoer는 인덱스펀드의 아버지이자 뱅가드의 창립자 존보글로부터 "King of Bogleheads"라 불린 투자자겸 금융인입니다.
제 자산배분에 관한 글을 처음 접하는 분이라면 아래글을 보고 오시면 더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Main Story
Taylor Larimore's Three Fund Portfolio
자산구성과 실적 | |||
Commoditiy | 0% | RISK | Medium |
Fixed Income | 40% | CAGR | 6.90% |
Stock | 60% | MDD | -32.41% |
용어설명
▶ Commoditiy : 원자재
# 금을 포함한 금속과 농산물 등 모두 포함
▶ Fixed Income
# 각종 채권과 현금을 포함
▶ Stock
# 모든 주식을 포함
▶ RISK : Lazy Portfolio 기준
# Very High / High / Medium / Low 4단계로 구분
▶ CAGR : Compond Annual Growth Ratio
# 연평균 수익률 (복리)
▶ MDD : Max Drawdown
# 최대하락폭 : 자산가치의 최고점대비 최하점의 하락폭
포트폴리오 구성
▶ Three Fund Portfolio는 60:40의 전통적 자산배분을 변화시킨 방법이므로, 주식 채권의 60:40의 비중은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 다만, 차이점이라면 60:40의 주식은 미국주식으로 구성되지만, Three Fund는 미국주식과 미국외 전세계주식을 모두 포함하여, 더 넓은 노출범위를 제공하여 미국으로부터 오는 리스크를 줄여줍니다.
# 미국주식과 그외주식의 비중을 7:3으로 배분하였으며, 이 비율은 전세계에서 미국주식이 차지하는 비중과 매우 유사합니다.
▶ 채권은 TOTAL BOND를 사용합니다. 주식으로부터 리스크 헷지의 역활도 있겠지만, TOTAL BOND는 변동성이 높지않아 현금을 보유함으로서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줄이는 두가지 역활을 함께 수행합니다.
# TOTAL BOND의 듀레이션은 약 6.5전후입니다.
포트폴리오 실적
▶ 세 인덱스펀드를 통해 2002년부터 CAGR 6.9%의 실적을 보였습니다.
▶ 지난 약 10년의 기간은 그 어떤 국가보다 미국주식이 호황을 누렸기때문에 미국주식비중이 낮은 Three Fund의 실적이 S&P500을 결과적으로는 앞서지 못하였습니다.
▶ 그러나, 2016년까지는 지속적으로 뛰어난 실적을 보였으며, 특히 2008년2020년의 주식시장의 큰폭의 하락에는 S&P500보다 하락폭이 매우적음을 알수 있습니다.
# MDD역시 S&P500은 50%가 넘어감에도 Three Fund는 32%로 방어하였죠.
# 32%가 일반적인 투자자가 버틸만큼 낮은 손실은 절대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Annual Return을 확인하면, Three Fund의 단점이 명확히 드러납니다.
▶ Three Fund가 미국외 주식을 다수 포함했음에도, 미국주식과 포트폴리오 전체의 상관관계가 너무 높게 나타나고있습니다. 헷지자산으로 TOTAL BOND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햇지 비율이 높지않아 나타나는 결과이죠.
▶ 또한, 미국외시장은 지난 수년간 좋지않은 실적을 보였던 것 역시 큰 영향이 있었을 것입니다.
포트폴리오 응용
▶ 매우 단순한 구조의 포트폴리오 입니다.
▶ 사실 특별히 응용할부분은 없지만, 조금 변화를 준다면 채권부분에 이머징채권을 포함시키거나 금과같은 원자재를 포함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 BND의 90%이상은 미국채권입니다.
# 금을 포함시킨다면, 영구포트폴리오와 비슷하게 변화할것입니다.
관련 ETF
포트폴리오 관련 ETF
▶ [미국 ETF] 미국 전체에 투자하는 ETF (VTI)
▶ [미국 ETF] 미국제외 전세계 투자 ETF 3종 (VEU vs IXUS vs ACWX)
▶ [미국 ETF] 모든 종류의 채권을 보유하는 채권집합체 ETF (AGG)
Summary
▶ 60:40을 전세계에 노출시킨 자산배분전략
▶ 단순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이며 전세계시장의 변화에따라 비중을 약간 조정하는 것이 나쁘지 않을것이라 판단 됨
'Investing information > 자산배분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배분전략 S9-2.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구성내역 (5) | 2020.10.18 |
---|---|
자산배분전략 S9-1. 국민연금 자산운용방법 및 실적 (4) | 2020.10.17 |
자산배분전략 S7. David Swensen 예일대 자산배분 모델 (6) | 2020.08.12 |
자산배분전략 S6. Select & Inverse Portfolio [주식/채권 자산배분 대체전략] (2) | 2020.08.08 |
포트폴리오 세부배분현황 / 상관관계 / 채권듀레이션 확인방법 (0) | 2020.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