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KBS뉴스 일부 발췌 |
정부는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에 대해 "가상화폐"가 아닌 "가상자산"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화폐로서 갖춰야 할 기능이 충족되지 않기때문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정부는 비트코인을 하나의 "자산"으로서 인정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비트코인을 경제적 가치를 지닌 무형의 자산으로 판단한 것이죠.
우리가 투자하는 대표적인 자산에는 주식, 채권, 원자재(금 포함), 부동산이 대표적입니다.
자본주의 시대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돈의 가치는 절하되고, 자산의 가치는 우상향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투자하는 방법이 자산배분이라는 투자방법이죠.
자산배분 투자법에 비트코인이라는 새로운 자산을 이용할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Main Story
비트코인과 자산들간 상관관계 [2017~2021] |
자산배분 투자에 가장 기본은 각 자산들간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을 편입하는 것입니다.
서로 다른 변동성을 갖는 자산들을 보유함으로서, 포트폴리오 전체 변동성은 낮추고 장기적인 자산가격 상승과 포트폴리오 리벨런싱 등을 통한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이죠.
# 자세한 정보 : 주식 리밸런싱 중요성과 변동성 수확 [Volatility Harvesting]
2017년 부터 비트코인과 미국주식, 채권, 금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매우 낮은 상관관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은 또하나의 자산으로서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것을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자산이라는 것입니다.
|
비트코인과 자산들간 상관관계 [2020~2021] |
최근 비트코인의 상관관계에서 채권, 금과 역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이 상당히 특이합니다.
비트코인을 자산으로서 비교할때, 디지털 금이라는 표현을 하곤 합니다. 2021년에는 비트코인이 급락시기와 금 가격이 반등하는 시기가 겹치며, 비트코인의 자금이 금으로 이동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금리를 기준으로 보자면, 금과 채권은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 매우 취약한 자산입니다.
채권가격과 금리는 역으로 움직이며, 금은 생산성이 없는 자산이기 때문에 금리가 높아 이자를 많이줄수록 금에 매력도는 떨어지는 것이죠. 시장에서 돈을 거둬드릴수록 화폐가치가 상승한다고 이해하셔도 좋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라는 평을 받으며, 금과 동일하게 생산성은 없지만 금리가 상승하는 구간에서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비트코인이 금리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나, 금이라는 자산과 상대적인 위치를 가진다고 하였을때, 금리가 상승하는 국면에서 금을 피하는 투자자가 비트코인을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가 안정적으로 변하며 금이 매력적으로 변한다면, 비트코인에서 금으로 자금의 이동이 일어난다고 해석되죠.
금은 인플레이션에 강하고, 금리상승에 약합니다. 비트코인은 인플레이션에 강하고 금리상승에도 강한 자산이라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면 비트코인은 매우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현재 비트코인의 데이터는 너무 짧습니다. 과한 해석이 될 수 있는 것이죠. 그럼에도 분명한것은 비트코인의 변동성은 현재 전통적 자산과는 다른 변동성을 보인다는 점입니다.
비트코인 자산배분 백테스트
|
P1 비트코인 / P2 비트코인 5 : 현금 5 |
비트코인의 변동성만을 이용하기 위한 5:5 배분입니다.
비트코인의 문제점은 너무 큰 변동성이였습니다. 하지만, 변동성 수확(Volatility Harvesting)에는 변동성이 필수적이며, 오히려 높은 변동성을 이용하는 것이죠.
비트코인만을 투자하는 투자자에게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MDD를 절반에 가까운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테니까요. -70%는 +300%의 수익률을 한번에 반납하는 손실률입니다. 손실률을 절반으로 줄여주는 것은 어마어마한 효과이죠.
비트코인 자산배분 |
전통적 자산배분인 영구포트폴리오에 금의 비중 1%를 비트코인에 배분한 결과입니다.
# 자산배분전략 S2. Harry Brown's Permanent Portfolio [Risk : 중]
리스크패리티 관점에서 변동성이 높은 자산은 포트폴리오에 낮은 비중으로 편입합니다. 비트코인의 변동성은 1%만 넣어도 CAGR을 1%가량 변화시킬 정도로 높은 변동성입니다.
비트코인을 편입함으로서, MDD가 소폭 낮아졌다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값입니다. 높은 변동성에도 MDD를 낮춰줫다는 것은 기존 자산들과 반대로 움직이는 성향이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죠.
또한, 리스크대비 수익률을 알려주는 지표인 Sharp Ratio와 Sortino Ratio 역시 소폭 높아졌습니다.
Portfolio 1(좌) / Portfolio 2(우) |
비트코인 1%의 효과로 월간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기간을 소폭 없애주었습니다.
다만, 비트코인의 가격이 하락할 때, 폭락수준으로 낮아진다는 점 때문에 수익대비 손실의 비율은 낮아졌습니다. 포트폴리오가 손실을 기록하는 시기에 비트코인의 손실이 매우 크게나타나며, 전체 손실폭을 키울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는 것이죠.
Summary
비트코인이 자산으로서 전통적 자산들과 분명히 다른 변동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만합니다.
실제로 비트코인으로 제 자산의 아주 일부를 구성하였고, 그 이유는 오직 변동성을 활용하기 위해서이죠.
비트코인이 자산으로서 어떠한 가치를 지니고있는지보다 비트코인이라는 변동성 높은 자산을 어떻게 하면 활용할 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춘 것이죠.
그럼에도 비트코인을 아주 일부분만 포함하는 또다른 하나의 이유가 있습니다.
자산배분에 포함되는 자산은 서로 다른 상관관계라는 조건외에도 자본주의의 특성에 따라 장기적으로 자산의 가격이 우상향 해야한다는 것이 더욱 중요한 조건입니다. 비트코인은 아직 자본주의 시대에 맞는 자산인지 증명되지 않은 것이죠.
미래에 비트코인이 어떤 자산으로서 가치가 있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불확실성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금은 수천년의 시간동안 자산으로서 자신만의 독특한 특성을 증명해왔습니다. 비트코인 역시 자산으로서 가치를 증명하지 못한다면 그저 한때 사람들을 광란에 빠트린 하나의 디지털 코드로서 지나칠 뿐이겠죠.
'Investing information > 자산배분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리밸런싱 중요성과 변동성 수확 [Volatility Harvesting] (4) | 2021.02.17 |
---|---|
자산배분전략 S9-3.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복제전략 (2) | 2020.10.19 |
자산배분전략 S9-2.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구성내역 (5) | 2020.10.18 |
자산배분전략 S9-1. 국민연금 자산운용방법 및 실적 (4) | 2020.10.17 |
자산배분전략 S8. Taylor Larimore’s Three-Fund Portfolio (2) | 2020.10.09 |
댓글